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약 가점표 총정리 –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가입기간별 점수 안내

by 데일리피트리치 2025. 4. 19.

 

2025년 청약 가점표 총정리 –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가입기간별 점수 안내

청약 당첨을 위해선 단순히 통장을 오래 갖고 있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당첨의 핵심은 바로 ‘청약 가점’입니다. 특히 민영주택이나 수도권 인기 지역의 청약 경쟁은 매우 치열하기 때문에 가점을 얼마나 잘 관리했느냐에 따라 당락이 갈리곤 하죠.
2025년 현재, 청약 가점제는 여전히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점수를 산정하며, 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최신 청약 가점표를 항목별로 분석</strong하고, 내가 받을 수 있는 점수를 직접 계산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

1. 청약 가점제란? 가점제와 추첨제의 차이

청약제도는 가점제와 추첨제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통장 가입기간에 따라 점수를 매겨 고득점자에게 우선적으로 당첨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주로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또는 100% 가점제 적용 지역에 사용됩니다.
반면, 추첨제는 가점과 무관하게 신청자 중 무작위 추첨 방식으로 당첨자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2025년에도 수도권 및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전용 85㎡ 이하의 분양주택에 대해 100% 가점제가 적용되므로, 가점이 당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2. 청약 가점표 구성 – 총 84점 만점 기준

청약 가점은 아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목별 점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무주택 기간최대 15년 (1년당 2점)32점
부양가족 수본인 제외 직계 가족 (1인당 5점)35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최대 15년 (1년당 1점)17점

총점: 84점 만점 수도권 분양 당첨 커트라인은 통상 60~70점대입니다. 특히 인기 지역에서는 70점 이상이 당첨 안정권으로 간주됩니다.

3. 항목별 가점 기준 상세 분석

①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청약 신청자의 주민등록 기준 무주택 기간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 1년당 2점, 최대 15년 (32점)
  • 배우자 포함 세대 기준으로 계산
  • 주택을 잠깐 보유했다면 기간이 초기화됨

②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같은 세대원으로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 중이며, 생계를 함께하는 가족을 기준으로 합니다.

  • 부양가족 1인당 5점, 최대 6인 (30점)
  • 배우자 포함,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직계비속(자녀 등)
  • 만 30세 이상 형제/자매는 제외

③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7점)

가입일부터 청약 신청일 기준으로 매년 1점씩 부여되며, 1개월 이상인 경우 0.1점 단위로 가점이 적용됩니다.

  • 1년 이상부터 점수 적용
  • 만점: 15년 이상 (17점)
  • 납입횟수 24회 이상 필요

4. 나의 청약 가점 계산법 & 전략

가점을 계산해보려면 아래 공식을 활용하세요.

✅ 청약 가점 계산 공식

가점 = (무주택 기간 x 2점) + (부양가족 수 x 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점수)

예를 들어,

  • 무주택 기간 8년 → 8 x 2 = 16점
  • 부양가족 3명 → 3 x 5 = 1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6년 → 6점

👉 총 가점 = 16 + 15 + 6 = 37점
만약 50점 이하라면 추첨제가 적용되는 청약을 노려보거나, 장기 플랜으로 가점 관리가 필요합니다.

💡 가점 전략 TIP

  • 무주택 기간을 끊기지 않게 유지 (1주택 보유 시 초기화)
  • 청약통장 가입은 하루라도 빨리 시작
  • 배우자, 부모, 자녀와 세대분리하지 말고 함께 세대 구성

결론

청약은 장기전입니다. 당장 당첨이 어렵더라도, 지금부터 무주택 기간과 통장 가입 기간을 차곡차곡 쌓아두면 3년, 5년 뒤에는 당첨 가능성이 크게 올라갑니다.
2025년에도 청약 가점제는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 점수를 먼저 계산해보고, 부족한 부분을 전략적으로 채워가세요. 내 집 마련, 가점부터 시작입니다.